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덤프버전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2020)
Ma Rainey's Black Bottom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북미 포스터.jpg
장르
감독
조지 C. 울프[1]
각본
루벤 산티아고-허드슨
원작
어거스트 윌슨의 동명의 희곡
제작
덴젤 워싱턴
토드 블랙
데이니 울프
출연
비올라 데이비스
채드윅 보즈먼
글린 터먼
콜먼 도밍고
마이클 포츠
촬영
토비아스 A. 슐리슬러[2]
편집
앤드류 몬드셰인
미술
마크 리커
음악
브랜포드 마르샐리스
의상
앤 로스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이스케이프 아티스츠
배급사
개봉일
공개일
화면비
2.00 : 1
상영 시간
94분
제작비
-
독점 스트리밍
상영 등급
북미등급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수상 및 후보
8. 기타
9. 관련 문서
10. 외부 링크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퓰리처상을 수상한 극작가 어거스트 윌슨의 동명의 연극을 원작으로 하는 2020년 영화로, 1세대 블루스 가수인 마 레이니를 소재로 하는 영화이다. 다만 마 레이니가 주인공인 것은 아니고, 마 레이니의 앨범 녹음에 연주자로 참여하는 레비 그린이라는 가상의 캐릭터가 주인공이다.[3][4]

연극이 원작인만큼, 연극처럼 한정된 공간(녹음실)을 배경으로 주요 인물 한명의 방백이나 2인 혹은 여러명의 대화를 짧지 않은 길이의 씬으로 보여주다가 다른 주요인물들의 이야기로 넘어가고 또다른 대화의 연속을 보여준다. 즉, 작중 상황은 거의 다 이들의 발화를 통해서 진행이 된다. 영화를 보고 있지만 마치 연극을 보는 것처럼 빠져들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5] 아예 연극 형식을 반영하여 제작되었다고 할 만 한 것이, 하술되는 캐릭터 포스터가 마치 연극 포스터에서 볼법한 등장 배우의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2. 예고편[편집]


▲ 공식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1927년, 시카고의 음악 스튜디오.
불같은 성미와 열정을 가진 블루스 가수 마 레이니와 밴드가 모인다.
점점 끓어오르는 긴장과 감정.
녹음은 무사히 끝날 수 있을까.


4. 등장인물[편집]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비올라 데이비스 캐릭터 포스터.jpg
마 레이니 (비올라 데이비스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채드윅 보즈먼 캐릭터 포스터.jpg
레비 (채드윅 보즈먼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글린 터먼 캐릭터 포스터.jpg
털리도 (글린 터먼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콜맨 도밍고 캐릭터 포스터.jpg
커틀러 (콜맨 도밍고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마이클 포츠 캐릭터 포스터.jpg
슬로 드래그 (마이클 포츠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테일러 페이지 캐릭터 포스터.jpg
듀시 메이 (테일러 페이지 扮)

파일: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더산 브라운 캐릭터 포스터.jpg
실베스터 (더산 브라운 扮)


5.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8774|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없음%





MRQE
평점 없음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없음





Framed by a pair of powerhouse performances, Ma Rainey's Black Bottom pays affectionate tribute to a blues legend -- and Black culture at large.

강력한 연기력을 가진 출연진 군단에 의해 극의 틀이 주도되는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는 블루스의 전설이 된 한 인물에게, 그리고 나아가서 흑인 문화 그 자체에 애정 어린 헌사를 보내는 영화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7. 수상 및 후보[편집]




8. 기타[편집]




9. 관련 문서[편집]




10. 외부 링크[편집]




11.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3:35:07에 나무위키 마 레이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극 및 뮤지컬 감독 출신으로 토니상 3회 수상자이다.[2] 독일 출신의 촬영 감독으로, 미스터 홈즈미녀와 야수 등 주로 빌 콘돈 감독과 호흡을 맞춘 촬영 감독.[3] 영화에서의 분량을 봐도 레비 그린 역할의 채드윅 보즈먼 배우가 44분 나오고, 콜맨 도밍고 배우가 29분, 마 레이니 역할의 비올라 데이비스 배우는 세번째로 많은 27분 나온다.[4] 이 영화의 한국어 제목이 아쉬워지는 대목이다. 원제인 Ma Rainey's Black Bottom은 극중에서 녹음되는 노래의 제목이라는 점에서 마 레이니라는 개인보다는 녹음에 참여하는 뮤지션들, 나아가서는 당시 음악 산업에 대한 이야기임을 암시하는데, 한국어 제목은 그냥 마 레이니의 전기물인 것처럼 느껴진다.[5] 이 작품 외에도 어거스트 윌슨의 작품 중에 펜스가 영화화된 바 있다. 이 영화 또한 집(또는 울타리 속)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등장인물과 카메라를 가둔채 대화를 통해 이야기를 진행하고 등장인물이 겪는 일상적 상황을 통해 주제를 표면화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6] 채드윅 보즈먼은 Da 5 블러드를 통해 남우조연 후보에도 올랐다.[7] 채드윅은 해당 비평가 협회에서 Da 5 블러드의 남우조연상과 본 영화의 남우주연상에 동시에 노미네이트되었고 해당 작품에서 상을 수상했다.[8] 채드윅 보즈먼은 Da 5 블러드를 통해 남우조연 후보에도 올랐다.[9] 목소리 연기를 한 작품까지 포함하면 왓 이프...?가 유작이 되겠으나, 직접 출연한 작품 중엔 본작이 마지막 작품이다.

관련 문서